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주택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등 토지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2020/11/25 - [분류 전체보기] - [부동산용어정리]용도지역별 건폐율과 용적률은?

 

[부동산용어정리]용도지역별 건폐율과 용적률은?

안녕하세요 :) 이전 글에서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2020/11/24 - [분류 전체보기] - [부동산용어 정리] 건폐율과 용적률과 계산방법 알아보기 [부동산용어정리]건폐율과 용적률

ss.s31323435.com

지난 글에서는 용도지역별 건폐율과 용적률을 알아보았습니다. 토지를 알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지적도와 임야도입니다. 지적도와 임야도는 주민센터, 구청, 면사무소와 같은 곳에 방문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궁금할 때마다 방문하기도 힘들고 , 또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터넷으로 무료로 확인 할 수 있는 국토교통부 지적도 열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적도란?

토지의 쓰임새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모든 땅은 쓰임새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토지를 좀 더 세분하여 필지별로 구분하고 땅의 경계를 그어놓은 것이 지적도이다. 지적도는 토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공문서의 일종으로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면적, 소유자의 주소, 성명, 토지의 등급 등 토지의 권리를 행정적 또는 사법적으로 관리하는 데 이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적도 - 토지의 쓰임새를 나타내는 지도 (대단한 지구여행, 2011. 8. 1., 윤경철)

 

 

위에 나온 필지란?

토지의 등록단위로, 우리가 알고 있는 지번주소를 말합니다. 토지의 거래는 필지단위로 이루어지는데요, 즉 필지를 토지거래의 기본 단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필지들을 용도에 따라서 28개의 지목으로 구분하고 있는데요. 

2020/11/21 - [분류 전체보기] - [총정리편]토지? 지목? 지목의 종류, 지목의 구분

 

[총정리편]토지? 지목? 지목의 종류, 지목의 구분

안녕하세요 :) 오늘은 토지의 지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예전부터 전이며 답이며 어른들께 말씀은 많이 들었지만 정확하게 전, 답이 뭔지 잘몰랐습니다. 지목을 알게 되면서 아 지목의

ss.s31323435.com

28개 지목 중에서 임야만 임야도로 따로 나타내고, 이외의 지목은 지적도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국토부 지적도 무료열람과 활용방법

LURIS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국토교통부 토지이용규제정보 서비스에서 주소만 입력하면 조회가 가능합니다. 물론 회원가입도 필요 없습니다.

용도지역, 용도지구 주변 규제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열람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지적도로 보고 싶은 곳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② 지적도와 용도지역, 용도지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목, 면적, 공시지가 규제사항 등 확인이 가능합니다. 축적이 1/1200으로 되어있는 걸 보실 수 있는데요.

지적도에 1cm이라면 1,200cm = 12m로 보시면 됩니다.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지적도 활용방법

- 토지모양과 실제가 같은지 확인합니다. 토지모양이 반듯한 네모라면 좋은 땅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대상 토지가 진입 도로에 접해있는지 확인합니다. 지적도상에 진입도로 가 없다면 맹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맹지란, 지적도상 도로와 접하지 않으면서 다른 땅으로 둘러싸인 토지를 말합니다.) 도로가 접한 땅일수록 좋은 땅으로 보며 활용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주택을 짓고 싶지만 대가 아니라면 지목변경이 가능한지 관할 관청에 문의해야 합니다. 용도지역과 규제사항을 확인해야 됩니다. 

- 용도지역이 보전녹지, 개발제한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이라면 건축, 개발에 제한이 있습니다. 그래서 해제되기 전까지 가치 상승에 영향을 미칩니다. 

- 주택을 건축할 목적이라면 도시지역, 일반 거주지역의 땅을 구매해야 됩니다.

- 지적도 확인 후에 구매하고자 하는 토지가 있다면 반드시 현장답사 후 지적도상 토지모양과 일치하는지, 맹지는 아닌지, 또 땅의 경사도와 높이도 확인해야 합니다.

 

오늘은 국토교통부 지적도 무료 열람방법과 지적도 활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토지에 관심을 가지고부터는 알아야 할 정도도 많고 공부해야 할 것이 많다는 걸 알았습니다. 인터넷 지적도는 토지를 구매 전 참고 용도로 사용하시고 , 반드시 정확한 용도지역정보는 관할하는 관공서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