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서 토지 지목 종류 28가지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2020/11/21 - [분류 전체보기] - [총정리 편] 토지? 지목? 지목의 종류, 지목의 구분
[총정리편]토지? 지목? 지목의 종류, 지목의 구분
안녕하세요 :) 오늘은 토지의 지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예전부터 전이며 답이며 어른들께 말씀은 많이 들었지만 정확하게 전, 답이 뭔지 잘몰랐습니다. 지목을 알게 되면서 아 지목의
ss.s31323435.com
오늘은 다양한 면적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부동산에서 많이 등장하는 용어 대지면적, 건축면적, 바닥면적, 연면적 4가지를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대지면적이란, 건축법상 건물을 건축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은 땅의 넓이를 말합니다. 다만, 도로와 건축선 사이나 도시계획시설은 포함하지 않는다. 인구주택 총조사를 할 때 정의하는 대지면적은 '담장 안의 텃밭을 제외하고 정원을 포함한 전 면적'을 말하며 주거용 부분만 포함하고, 영업에 사용되는 부분은 제외합니다.
우리가 거주하는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면, 주민들이 거주하는 아파트를 포함하여 주차장, 상가, 경비실 등 모든 시설물들이 포함된 전체 면적을 말합니다.
수평투영 면적이란?
쉽게 말해서, 하늘에서 바로 내려다본 모양의 면적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건축물의 외벽(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외곽 부분의 기둥을 말한다)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 면적을 말합니다. 지표 면상 1m 이하의 건축물 부분은 제외됩니다. 즉, 지어질 건물을 하늘에서 바라봤을 때 가장 넓은 바닥면적이 건축면적이며, 보통은 가장 넓은 층인 1층 바닥면적이 이에 해당됩니다.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각층 또는 벽, 기둥 등의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 면적을 말합니다. 즉, 각 층의 면적을 바닥면적이라고 부릅니다. 바닥면적이 가장 큰 부분이 건축면적이 됩니다.
예를 들어 1층 바닥면적이 100평, 2층 바닥면적이 80평이라고 한다면 면적이 더 큰 1층 100평이 건축면적으로 기준이 될 것입니다.
하나의 건축물의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합니다. 용적률을 산정할 때는 지하층 면적, 지상층의 주차장, 초고층 건축물과 준초고층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면적, 건축물의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의 면적은 제외됩니다.
지금까지 4가지의 면적 용어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간단하게 정리를 하자면,
대지면적은 토지의 면적, 건축면적은 대지에서 건축물의 면적 1층 또는 가장 넓은 바닥의 면적을 말하며,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각 층별의 개별 면적이고, 바닥면적의 합이 연면적입니다.
저도 이번 기회에 대지면적, 건축면적, 바닥면적, 연면적이 머릿속에서 정리가 되었는데요.
저의 블로그를 보신 분들도 잘 정리가 되셔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다음에는 건폐율, 용적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