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동산 정책이 수시로 변화하면서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바뀐 정책을 확인하시느라 정신이 없으실 겁니다. 요즘에 전세물량이 줄고 월세 물건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인데요. 실제로 집을 구해보신 분들은 전세 물건이 많이 없어진 것을 확인하셨을 겁니다. 뉴스에도 전세가 없다는 보도가 되고 있습니다.
익숙한 전세물건이 아니고 월세로 물건이 나오다보니 내가 보고 있는 가격이 적당한 수준인지, 그리고 기존 전세로 살고 계시던 분들께서 월세로 전환한다면 월세 가격은 요구하는 가격이 맞는 건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직 남아있는 전세물건을 구해서 저렴한 전세대출상품을 이용하셔서 계속 연장해서 거주하시는 것일 겁니다. 오늘은 전월세 전환율 계산방법과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계산하는 방법 및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념을 간단히 정리한 후에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 사용방법도 정리해두었습니다.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전월세 전환율 기존 4% → 현행 2.5%
2020년 9월 29일 임대차보호법 개정이 시행되었죠? 그러면서 관심을 가지셔야 할 부분이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전환율인 전월세 전환율, 기존 4% 에서 현행 2.5%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전환율은 전세를 월세로 바꿀때만 적용이 됩니다.
전월세 전환율 계산에 2%가 적용된다는 소식에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월세물건도 전세로 전환할 때 이 전월세 전환율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결론은, 전세를 월세로 바꿀때만 적용될 수 있으며 월세를 전세로 바꿀때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9월 29일에 시행된 주택 임대차 보호법 개정내용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세입자가 집주인의 실거주 이유로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경우 실제로 집주인이 거주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럴 때 임대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전월세 전환율이 기존 4%에서 2.5%로 변경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계속 글로만 보면 이해가 잘 안 되시죠? 그렇다면 이제 전월세 전환율 계산방법을 실제 전세금액을 월세금액으로 전환해보는 예시와 계산기 바로가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계산방법 기존 4% → 2.5%
1억 원의 전세집을 대상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1억원의 가격인 전셋집은 많이 없습니다. 현실적으로는 5억 원의 전세 가격을 3억 원의 보증금, 2억 원의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듯합니다. 이런 경우라면 3억 원의 보증금 + 2억 원 월세 전환 비용 (41만 6천 원, 2.5%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실제로 들어가는 비용이 2억 원에 대한 월세 전환 비용이라고 생각이 드실 수 있겠지만, 목돈이 없으신 분들은 3억 원의 전세대출을 이용하셔야 하기 때문에 또 이자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신한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나 주택도시 보증 공사에서 제공하는 전세상품 금리가 괜찮다고 하며, 청년분들은 청년 전세대출 상품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계산이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걱정하지 마세요.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쉽게 가능합니다.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 사용은 렌트홈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렌트홈(임대등록시스템)
www.renthome.go.kr
렌트홈으로 접속 후 우측에 임대료 인상률 계산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전월세 전환율은 왜 2.5%일까요?
전월세 전환율 계산방법 기준 금리인 2.5%는 한국은행에서 지정한 기준금리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0.5%에 전월세 전환 시행령에 따른 금리 2%를 더해 총 2.5%의 전환율이 나온 것입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추후에 변한다면 전월세 전환율 금리도 함께 변동됩니다.
저도 처음에 카드 뉴스를 봤을 때 기준금리를 못 보고 2%라고 되어있는데 어딜 봐도 왜 2%인데 2.5%로라고 하는 거지?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앞에 기준금리 +2% 로라는 걸 보고 아 ~ 기준금리가 0.5%라서 2.5%라고 하는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저처럼 부동산 초보자는 헷갈릴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혹시 저만 그런 거라면 죄송합니다 ㅎ) 이번 포스팅을 하면서 저도 많이 배워가는 시간을 가져서 좋았습니다.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