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독감주사부작용

★♤♠★ 2020. 10. 30. 02:20
반응형

 

저는 매년 독감주사를 맞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서 독감주사를 맞으시려는 분들도 많이 있고, 국가에서도 독감주사를 무료 접종할 수 있게 해주고 있는데요.

 

2020/10/13 - [분류 전체보기] - 2020년 독감 무료 예방 접종 대상,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에서 예약하기.

 

2020년 독감 무료 예방 접종 대상,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에서 예약하기.

코로나 19로 인하여 독감 무료접종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어린이 이외 어르신, 임산부 독감(인플루엔자) 무료 접종 대상 및 접종기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인플루엔자) 지

ss.s31323435.com

2020/10/13 - [분류 전체보기] - 2020년 독감예방 접종,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시기

 

2020년 독감예방 접종,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시기

찬바람이 슬슬 불어오면서 여름이 어느덧 지나가고 , 가을과 겨울이 오려고 합니다. 2020년 어린이 독감 예방접종 시기가 공지되었습니다. 금방 겨울이 올 것 같습니다. 2020 ~ 2021절기 어린이 인플

ss.s31323435.com

지난달 독감주사를 이동시 상온 노출로 인해서 접종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무료 대상자가 많아짐에 따라 독감 예방주사를 맞고 부작용을 경험하신 분들이 많아졌다고 하는데요.

요즘 독감주사 후 사망하였다는 기사가 많이 떠서 걱정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아직 인과관계가 다 밝혀지지 않아서 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독감주사 부작용 및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루엔자 백신 (독감주사)

인플루엔자 즉 독감은 여름에 습하고 더운 날씨에는 활동성이 떨어졌다가 11~12월 날씨가 추워질 때쯤 활동성이 늘어납니다. 그래서 가을 겨울철에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로 독감주사는 9 ~10월에 맞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독감은 우리 몸에 들어와 코나 목, 폐로 들어와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고열과 두통, 기침 콧물, 근육통등 여러 가지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독감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독감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독감주사 항체는 약 6개월간 지속되기 때문에 매년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독감주사 예방률은 성인 기준 약 70 ~ 80% 정도로, 맞고 나서 때때로 체질이나 몸 상태에 따라서 독감주사 부작용이 나타나는 분들이 있다고 합니다.

 

독감주사를 맞으면 안 되는 사람

① 6개월 미만의 어린이

② 달걀이나 백신 성분 등의 알레르기가 있는 분

③ 감기에 걸렸거나 몸 상태가 안 좋은 경우

④ 길랑바레 증후군이 있는 경우
길랭바레 증후군이란?
원인을
 모르게 여러 말초 신경에 염증이 와서팔다리에 통증과 마비가 일어나며 몸통과 얼굴로 퍼지는 질병병의 진행은 다양한데심한 경우 호흡 마비를 일으켜 중환자실 간호가 필요하다특별한 치료 없이  주일이나   안에 회복된다.

 

독감주사 부작용

두통

미열

피로

현기증

근육통

구토 · 구역질

통증 · 붓기

호흡곤란

안면부종

두드러기

빠른 맥박

독감주사를 포함한 많은 백신들은 몇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감주사 부작용 증상으로는 위에 나열한 것과 같으며, 보통 일반적인 부작용과 심각한 부작용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일반적인 독감주사 부작용

주사를 맞은 부위가 부어오르거나 , 간지럽거나, 누르면 통증이 생기는 듯한 증상이나 근육통처럼 몸이 아플 수도 있습니다. 또한 두통이나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위 증상들은 독감주사를 맞은 후 보통 6 ~12시간 내에 나타나며, 보통 하루에서 이틀 정도 나타나다가 없어집니다.

심각한 독감주사 부작용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달걀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은 이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눈이나 입 쪽이 부어오르거나
숨쉬기가 곤란하고, 숨을 쉴 때 쌕쌕 소리가 나는 경우에는 바로 응급실이나 병원을 찾아가야 합니다.

 

독감주사 부작용이 3일 이상 나타나게 된다면?

 

위와 같은 독감주사 부작용 증상이 1 ~ 2일 정도면 괜찮아지지만 3 ~ 4일 이후에도 지속된다면 꼭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만약 열이 난다고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에는 더 큰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의사와 상담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독감주사 부작용 예방법

 

접종 전

접종 후

몸 상태가 좋은 날 접종합니다.

당일 음주나 지나친 운동은 삼가합니다.

대기하는 동안 충분한 물을 섭취합니다.

독감접종 후 당일에는 목욕을 하지 않습니다.

만성질환 및 이상반응 유경험자는 의사와 충분한 상담 후 접종을 합니다.

접종 후 3일간 관심을 가지고 고열이나 경련 등 부작용이 없는지 잘 살펴봅니다.

접종 전 의사와 기저질환 및 알레르기 확인 후 접종합니다.

접종부위는 손으로 만지거나 로션 등의 접촉은 피합니다.

저도 올해 독감 예방 주사를 맞았을 때는 맞은 팔이 굉장히 뻐근하고 통증이 있었지만 , 자고 일어난 다음날은 괜찮았습니다. 독감주사를 맞기 전에 여러분은 컨디션이 좋은 날 접종하시고, 접종부위는 손으로 만지거나 하지 마시고, 2 ~ 3일간은 푹 쉬면서 몸상태를 잘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