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예방 접종하면 면역력이 없는 어린이들이 대상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을 거라 생각하는데요. 저도 그렇게 생각했었습니다. 성인이 맞아야 되는 예방접종도 있답니다. 나이가 들면서 면역력이 떨어지므로 성인도 시기별로 예방접종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코로나 19가 확산됨에 따라 미리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폐렴구균은 단 1회 예방접종만으로 쉽게 예방할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어르신은 무료로 올해는 보건소뿐 아니라 지정 의료기관에서도 접종 가능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과 지원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폐렴의 증상은?

폐렴은 국내 사망원인 중 3위로 상당히 위험한 질병입니다. 폐렴은 폐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높은 열이 나며 가슴통증,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65세 이상 고령층은 폐렴구균이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면서 다른 분 위로 퍼지게 되지게 되어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또한 만성 폐질환, 당뇨병, 신장질환, 심혈관질환, 간질환 등의 기저질환자에게는 2차 질환으로 번질 위험이 있습니다. 

 

폐렴구균 증상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맞아야 하는 이유

폐렴구균 예방접종시 폐렴, 패혈증, 뇌수막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50 ~ 80% 예방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혈액, 뇌, 척수, 뼈, 관절, 귀, 위나 십이지장, 심장의 바깥 면을 싸고 있는 심막, 상처 부위 등을 감염시키고 염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맞으시면 건강관리에 좋습니다.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한 결과, 접종률이 70% 수준이었으며 올해는 코로나19유행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1/4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접종

2020년6월22일 부터 12월 31일까지 65세 이상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무료로 진행합니다.  2020년 기준 195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가 대상입니다.  23가 다당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65세 이상 어르신이 대상이며 올해는 전국 보건소뿐 아니라 지정 의료기관에서도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맞을 수 있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무료

기존에 맞으셨던 어르신분들 경우 65세 이전에 맞았는지 65세 이후에 맞았는지에 따라 상황이 나뉘게 됩니다. 만약 65세가 지나고 접종한 경우에는 추가 접종을 안 하셔도 됩니다.

65세 되시기 전에 접종한 경우 5년 이후 65세 이상이 된 시점에 맞으시면 됩니다.

폐렴구균 단 1회 예방접종만으로도 예방할 수 있으며, 65세 어르신에게는 백신이 무료로 지원되고 있으니 예방접종을 통해 건강을 지켜주세요.

 

민간의료기관가능                                                                                예방접종행동수칙

 

 

아직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맞지 않으셨다면, 노인 건강보호와 코로나19에 의한 중증 폐렴 예방 등을 위해 위탁계약이 체결된 민간병원, 의원과 전국 보건소에 방문하셔서 예방접종을 진행하세요.

 

 

반응형
댓글
반응형